Your Custom Text Here
ARTIST STATEMENT
Barnacles, which usually inhabit on the seashore, are sessile crustaceans that live attaching to nearby rocks, stakes, under the boats and various things of the human world which frequently are swept away to the deep sea and are pushed to the seashore again. They are creatures belonging to palaeospecies which have so far lived adapting to the environment since they appeared in the Paleozoic Cambrian period. They are similar to humans in that those creatures are weak individually but they have strong viability when they form groups. The author tried to project a human's social aspect in a larger sense and an individual's appearance in a smaller sense through barnacles.
To barnacles, the world in the artwork means the universe itself where there is a place and time for greeting moments of life and death and water is a symbol of life. In addition, they have neighbors that are small crabs or fish. To these crabs and fish, barnacles are home to live or places to rest for a while. Lives are getting entangled like chains. Creatures, such as barnacles, crabs and fish, and materials that are part of natural environment, or the earth, are in organic symbiotic relationship one another. The author told that men also had to live in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people and people, people and animals and plants, and people and materials. This artwork embodied a crowd of individuals and a human society in a smaller sense and aspects of life that materials and creatures had to live mixed organically in a larger sense.
따개비는 바닷가에 주로 서식하며 근처 암초, 말뚝, 배 밑 그리고 종종 깊은 바다에 휩쓸려 갔다가 다시 바닷가로 밀려나온 인간세계의 여러 가지 물건들에 붙어 서식하는 고착성 갑각류이다. 이들은 고생대 캄브리아기에 출현하여 현재까지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온 화석종 생물이다. 하나의 개체로는 약하지만 군집을 이룰 때 더 생존력이 강한 생명체라는 점에서 인간의 모습과 유사하다. 작가는 이러한 따개비라는 생명체를 통해 크게는 인간사회상, 작게는 한 개인의 모습을 투영하고자 하였다.
따개비에게 작품 속 세계는 삶과 죽음의 순간을 맞이하는 장소와 시간인 우주 그 자체이고 물은 생명을 상징한다. 그리고 이들에게는 이웃이 있다. 작은 게나 물고기들이 그들이다. 이들은 물체 위에 살고 있는 따개비들을 터전으로 살아가거나 잠시 쉬어가는 곳으로 삼는다. 바닷물이 교차하는 곳에 생명과 생명이 고리처럼 얽혀있는 것이다.
따개비, 게, 물고기 등의 생명체와 물질은 지구라는 자연환경의 일부로서 서로 유기적인 공생관계(Symbiotic Relationship)에 있다. 인간 역시 사람과 사람, 사람과 동식물, 사람과 물질 등 환경에 어우러지며 살아가야 함을 이야기 한 것이다. 작가의 작품은 작게는 개인과 인간사회의 군상, 넓게는 물질과 생명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얽혀 살아가야 하는 삶의 모습을 형상화 한 것이다.
ARTIST STATEMENT
Barnacles, which usually inhabit on the seashore, are sessile crustaceans that live attaching to nearby rocks, stakes, under the boats and various things of the human world which frequently are swept away to the deep sea and are pushed to the seashore again. They are creatures belonging to palaeospecies which have so far lived adapting to the environment since they appeared in the Paleozoic Cambrian period. They are similar to humans in that those creatures are weak individually but they have strong viability when they form groups. The author tried to project a human's social aspect in a larger sense and an individual's appearance in a smaller sense through barnacles.
To barnacles, the world in the artwork means the universe itself where there is a place and time for greeting moments of life and death and water is a symbol of life. In addition, they have neighbors that are small crabs or fish. To these crabs and fish, barnacles are home to live or places to rest for a while. Lives are getting entangled like chains. Creatures, such as barnacles, crabs and fish, and materials that are part of natural environment, or the earth, are in organic symbiotic relationship one another. The author told that men also had to live in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people and people, people and animals and plants, and people and materials. This artwork embodied a crowd of individuals and a human society in a smaller sense and aspects of life that materials and creatures had to live mixed organically in a larger sense.
따개비는 바닷가에 주로 서식하며 근처 암초, 말뚝, 배 밑 그리고 종종 깊은 바다에 휩쓸려 갔다가 다시 바닷가로 밀려나온 인간세계의 여러 가지 물건들에 붙어 서식하는 고착성 갑각류이다. 이들은 고생대 캄브리아기에 출현하여 현재까지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온 화석종 생물이다. 하나의 개체로는 약하지만 군집을 이룰 때 더 생존력이 강한 생명체라는 점에서 인간의 모습과 유사하다. 작가는 이러한 따개비라는 생명체를 통해 크게는 인간사회상, 작게는 한 개인의 모습을 투영하고자 하였다.
따개비에게 작품 속 세계는 삶과 죽음의 순간을 맞이하는 장소와 시간인 우주 그 자체이고 물은 생명을 상징한다. 그리고 이들에게는 이웃이 있다. 작은 게나 물고기들이 그들이다. 이들은 물체 위에 살고 있는 따개비들을 터전으로 살아가거나 잠시 쉬어가는 곳으로 삼는다. 바닷물이 교차하는 곳에 생명과 생명이 고리처럼 얽혀있는 것이다.
따개비, 게, 물고기 등의 생명체와 물질은 지구라는 자연환경의 일부로서 서로 유기적인 공생관계(Symbiotic Relationship)에 있다. 인간 역시 사람과 사람, 사람과 동식물, 사람과 물질 등 환경에 어우러지며 살아가야 함을 이야기 한 것이다. 작가의 작품은 작게는 개인과 인간사회의 군상, 넓게는 물질과 생명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얽혀 살아가야 하는 삶의 모습을 형상화 한 것이다.
수위표 Warter MarkⓒADAGP 2021 Mixed Media 162.2×130.3cm
여정-항해자 Odyssey-PathfinderⓒADAGP 2018 Mixed Media 200 x 25cm
여정-프로세스 Odyssey-Process ⓒADAGP 2016 Mixed Media π61cm
회색고래-항해자 Grey Whale-PathfinderⓒADAGP 2019 Mixed Media 95 x 200cm
Pathfinder 2020 Mixed Media 90x200cm
여정-행성 Odyssey-The PlanetⓒADAGP 2019 Mixed Media 84 x 67cm
공존-여정 Coexistence-Odyssey ⓒADAGP 2018 Mixed Media 60.6 x 72.7cm
수위표 Water Mark ⓒADAGP 2014 Mixed Media 162.2x130.3cm
Warter Mark 2020 Mixed Media 205x22cm
Coexistence & Coprosperity 2010 Mix Media 116.8x91.0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