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geun Bae
ARTIST NOTE
Tactile Remembrance
People have the tendency to “touch” when they behold my paintings. At first I considered it as a simply interesting phenomenon but, then again, as the sightings were repeated a realization came to me. Perhaps these responses come from my intended direction for touch within me is reaching the viewers.
In other words, my intent to create figures of mass through utilizing soft materials such as fabric, cotton and fine sands has may have reminded the viewers of a familiar “something” that made them reach our their hands in curiosity.
It may be that, starting from the time inside my mother’s womb to now, all of the experiences are store somewhere inside my body and skin may very well be the part that stores memories by touch. The skin probably reacted by softening, hardening, warming and contracting when faced with responsive situations and stored information of such experience through time that played a vital role in how I see view the world in general.
With that in mind, perhaps, the figures of mass that I created until this time are manifestation derived from the impressions and feelings through many of these experiences. Through an especially longer dormant period my choice of touch, a subject of one such personal nature, as a new start of my story is considered to be from an instinctive choice which makes it more meaningful.
In my current project I have utilized figures of animals with the intentions of expressing the desire to “stroke”. Like the feel you get from the soft cheeks of a baby or a fuzzy back of a puppy that make you want to touch.
I am both excited and curious to find out the reactions I get after seeing my work that further emphasized the element of “touch”.
촉감기억
사람들은 내 그림을 보는 순간 ‘만져본다’. 처음에는 단순히 흥미롭게 여겼지만, 그런 장면이 반복될수록 내 안에 있는 어떤 촉감에 대한 지향과 관련된 반응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즉 그러한 나의 욕구가 천, 솜, 고운 모래 같은 부드러운 질감의 재료들을 선택하여 양감을 가진 형상들을 만들게 했고, 보는 이들에게도 기억 속에 있는 친숙한 감각의 무언가를 연상시켜서 선뜻 손을 내밀게 했던 것인지도 모르겠다.
내가 미미한 자의식을 가진 태아일 때부터 지금까지 겪은 모든 일들은 몸 어딘가에 저장되어 있고, 특히 피부는 그것을 촉감의 형태로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특정한 경험을 할 때 나의 피부는 말랑말랑해지거나 달아오르거나 뻣뻣해지거나 소름이 끼치는 등의 반응을 보이며 대상의 정보를 기록했고, 그런 정보의 누적은 세상을 어떤 곳으로 느끼는지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내가 작업을 통해 표현했던 물성들은 과거에 느꼈던 인상적인 촉감이나 그와 관련된 경험 및 정서의 재현이었을 지도 모르겠다. 특히 오랜 침체기를 거쳐 다시 그림을 그리게 된 때 가장 개인적인 체험인 촉감을 주제로 선택한 것은 나의 이야기가 시작되는 곳을 향한 본능의 이끌림 때문인 듯해서 더욱 의미 있다.
이번 작업을 하면서 나는 동물의 형상을 빌어 주로 ‘쓰다듬고 싶은’ 느낌을 표현하려고 했다. 아이의 보들보들한 뺨이나 강아지의 복슬복슬한 등처럼 나도 모르게 손이 가는 그런 느낌말이다.
그동안의 작업 중에서 촉감적 요소를 더욱 부각시킨 이번 작품들이 사람들에게 어떤 몸짓을 유발할지 궁금하다.
촉감 기억 - 닭 Tactile Remembrance - Rooster 2019 Mixed Media 91x65cm
촉감 기억 - 파란 공작 Tactile Remembrance - Blue Peacock 2018 Mixed Media 130x97cm
Vivid-Rooster 40 2022 91x65cm Mixed Media
촉감 기억 - 닭 Tactile Remembrance - Rooster 2019 Mixed Media 65.2x80.3cm
촉감 기억 - 닭 Tactile Remembrance - Rooster 2019 Mixed Media 72.7x72.7cm
촉감 기억 - 닭 Tactile Remembrance - Rooster 2019 Mixed Media 91x65.2cm
촉감 기억 - 닭 Tactile Remembrance - Rooster 2019 Mixed Media 53x72.7cm
Vivid23 2020 Mixed Media 73x91cm
Vivid28 2020 Mixed Media 146x112cm
Vivid32 2020 Mixed Media 65x91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