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eng-A Kim
ARTIST STATEMENT (Excerpt)
I intended to have the viewer feel familiar with dried pollack, which is very common in our daily lives by implementing realistic depiction and put flowers to symbolize an array of aspirations in the form of a dried pollack as a decoration. Furthermore, I tried to deliver the shamanistic meaning of the objet, ‘Dried Pollack Wrapped with White Silk Thread.’
Minhwa has a feature that enables aspirations such as perpetual youth and long life in addition to wealth and prosperity of descendants including culture and sociality of the time to be transformed into an art through the public eye. I think that a dried pollack could be a good source of artwork because it implies a variety of symbolic perspectives.
Our ancestors believed that good vision of dried pollack and its open mouth could expel calamity of the world as protection of individual well-being. Additionally in the folk beliefs, dried pollack is regarded as a medium to connect human and god thus it was used in traditional ritual formalities. Especially, when dried pollack was used for these kinds of rituals, white silk thread always comes with it. White silk thread also has a meaning of long life and is used for sacrificial offering during these rituals.
In my artwork, however, the silk thread becomes the means as an ability to show many different forms of work with its own meaning of sacrifice. I believe that a picture of dried Pollack can expand the concept of its art form from painting to a decorative art or a 3-D art when it is displayed with silk thread wrapped. Moreover, by breaking the stereotype that paintings are hung “on the wall” I wanted to suggest a new paradigm that paintings can be suspended “from the ceiling.”
<북어> 시리즈에서 나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북어를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친숙함을 느끼게 하려 의도했고, 그 안에 다양한 염원을 상징하는 꽃들을 넣어 장식하였으며, ‘명주실 감은 북어’라는 오브제가 가지고 있던 주술적인 의미까지 전달하려 했다.
민화는 불로장생, 부귀영화, 자손 번성 등과 같은 염원이나 당시의 문화와 사회성을 민중의 눈을 통하여 예술로 승화시켜준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나는 다양한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는 북어가 현대 민화에서도 좋은 소재거리가 된다고 생각한다.
선조들은 북어의 밝은 눈과 벌어진 입이 인간세상의 재액을 소멸시켜 주며, 개인의 안녕을 지켜준다 믿었다. 또 민간신앙에서는 북어를 신과 인간을 연결시켜주는 매개물로 여겨 각종 제례, 고사, 관혼상제에 사용하고 있다.
북어가 이러한 의미로 사용될 때는 늘 명주실(실타래)과 함께 한다. 실타래 또한 각종 의례와 집안의 고사 등에 수명장수를 축원하는 의미로 사용되거나 신령에게 바치는 제물로 사용된다. 그러나 내 작품 속에서 실타래는 기존의 제물이라는 의미와 함께 작품의 형태를 다양하게 볼 수 있게 해주는 도구가 된다. 북어를 그린 그림은 회화라는 단편적인 양상을 띨 수 있지만, 북어그림과 실타래가 함께 함으로써 회화를 넘어 장식미술, 나아가 조각으로도 확장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 그림은 벽에 “거는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매달 수도 있는 것”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싶었다.
꽃북어 Flower Dried Pollack 2020 Oriental Pigment on Korean Paper 21x140cm
다시 그 제주 다시 그 바다 Return to the Jeju Return to the Ocean 2019 Oriental Pigment on Korean Paper and Glass 190x108cm
색동 북어 Saekdong Dried Pollack 2020 Oriental Pigment on Korean Paper 14x70cm
명품북어 Gucci Dried Pollack 2019 Oriental Pigment on Korean Paper 21x140cm
한라화병도 Hanra Vase 2019 Oriental Pigment on Korean Paper 56x125cm*2
일월오봉도북어 Irworobongdo Dried Pollack 2019 Oriental Pigment on Korean Paper 14x70cm
제주북어 Jeju Dried Pollack 2020 Oriental Pigment on Korean Paper 21x140cm
제주 책가도 Jeju Chekgado 2019 Oriental Pigment on Korean Paper 140x140cm
스마일 북어 Smile Dried Pollack 2019 Oriental Pigment on Korean Paper 14x70cm
슈퍼맨 북어 Superman Dried Pollack 2019 Oriental Pigment on Korean Paper 14x70cm